【새롬세평(世評)】 초강수는 없고 여의도 문법과 적당히 타협한 이준석 리더십…상처 넘어 보수 위기 재촉하다.

- 내로남불 이준석, 정치적 책임 모두 져야 -

미디어저널 | 기사입력 2021/08/24 [19:12]

【새롬세평(世評)】 초강수는 없고 여의도 문법과 적당히 타협한 이준석 리더십…상처 넘어 보수 위기 재촉하다.

- 내로남불 이준석, 정치적 책임 모두 져야 -

미디어저널 | 입력 : 2021/08/24 [19:12]

▲  초강수는 없고 여의도 문법에 타협한 이준석 리더십

 

부동산 거래 과정의 법령 위반 의혹이 불거진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에 대해 이준석 대표가 내린 처방이 기대 이하라는 비판이 들불처럼 일고 있다.

 

이 대표는 24일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해당 의원 12명에 대한 처분을 결정했고, 비례대표인 한무경 의원을 제명하기로 했고, 강기윤·이주환·이철규·정찬민·최춘식 의원에 대해 탈당요구 처분을 내렸다.

 

이중 안병길·윤희숙·송석준·김승수·박대수·배준영 의원에 대해서는 본인의 소명 등을 고려해 문제 삼지 않기로해 지난 6월 자신이 대표로 선출된 직후 "더불어민주당이 세운 기준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예고했던 '읍참마속' 수준의 대응과는 한참 거리가 멀다.

 

이번 조치의 강도로만 놓고 보면 더불어민주당이 권익위에서 법령 위반 의혹이 있다고 한 12명이 발표되자마자 전원에게 탈당을 권유한 것에 크게 못 미친다.

 

이런 여론의 질타가 일자 이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민의힘 최고위원회는 어제부터 오늘까지 장시간에 걸친 논의와 당사자 소명절차를 통해 권익위의 통보내용을 바탕으로 마음 아픈 판단을 내렸다"고 변명을 했다.

 

하지만 애초 권익위가 소명도 듣고 조사한 결과에 따라 경찰 수사로 넘겼는데, 당내에서 자체 소명을 듣고 문제없다며 셀프면죄부를 준 것은 전형적인 내로남불로 그동안 이 대표가 말한 민주당보다 더 엄한 징계 조치를 취하겠다던 공언은 결국 허언이고 꼼수였음이 백일하에 드러난 것이다. 

 

이 대표는 이번 처분과 관련해 나름의 이유를 설명했지만 '이준석 리더십'에 금이 갔다는 비난과 함께 보수의 위기라는 평가가 곧바로 나왔다.

 

부동산 문제 같은 경우 국민의 역린이라 표현 할 수 있을 정도로 국민들의 감정이 굉장히 분노해 있다.

 

또한, 이 대표는 최근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한 '녹취록' 공방과 윤석열 후보와의 혈투로 이미 금이 갈데로 가다보니, 당 안팎에선 이대로 가다간 내년 대선은 필패라는 냉혹한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는 지난 6월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국민권위원회가 제기한 부동산법령 위반 의혹에 여론의 지탄을 받고 있을 당시 "적어도 민주당 기준보다 엄격하고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야 한다"며 국민의힘 부동산 전수조사 결과에 따른 중징계를 공언했고, 불과 이틀 전(22일)만 해도 페이스북에서 "공언했던 입장 지키겠다"며 부동산 관련 중징계를 거듭 약속을 어겼기 때문에 당 안팎에서 쏟아지는 비난과 질타를 피하기 어렵다.

 

장고끝에 악수를 둔다고 이 대표의 졸속 처리는 적폐 대상인 '여의도문법'과는 상당히 가까워졌는지 모르지만 '이준석 돌풍'이란 고유의 정치적 자산을 모두 잃게되어 이 대표의 리더십은 개인적인 상처를 넘어 보수의 위기가 됐다.

 

이 대표를 비롯해 대선후보들이 지난 4.7 재보궐 선거 이전부터 줄기차게 주창해온 공정과 상식은 이제 헌신짝처럼 되어버렸다. 마치 양치기 소년처럼 말이다.

 

이 대표는 지금이라도 무관용 원칙에 입각해 엄정 징계해야지 그렇지 않고 유야무야 넘어가 적당하게 타협한다면 앞으로 일어날 모든 정치적 책임을 본인이 져야만 할 것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