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블록체인 허브 급부상 베트남…가상통화 시장 열기 '후끈

장서연 | 기사입력 2018/09/22 [11:54]

新 블록체인 허브 급부상 베트남…가상통화 시장 열기 '후끈

장서연 | 입력 : 2018/09/22 [11:54]

 

▲  新 블록체인 허브 급부상 베트남…가상통화 시장 열기 '후끈 ©

 

 

베트남이 새로운 블록체인 허브로 급부상하고 있다.

 

최근 1년 사이에 베트남에 몰린 글로벌 블록체인 업체들만 20여곳에 달한다.

 

엠블과 팝체인 등은 물론 국내 가상통화 거래소 중 일부도 베트남 진출을 고려하고 있다. 베트남 내 투자 열기도 상당하다.

 

현지 가상통화 거래소 10여곳 중 1위인 비트코인 베트남의 회원수는 100만명에 달한다. 하루 거래량도 200억원 수준이다. 국내 빅2 거래소 빗썸, 업비트와도 큰 차이 없는 규모다.

 

가상통화 투자 열기도 이어지는데다 베트남 정부도 친(親) 블록체인 기조를 보이고 있다.

 

비교적 신기술이기 때문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산업혁명 시대의 타 주요 기술 대비 기술적 진입 장벽이 낮은 만큼 민·관 협력이 가속화한다면 승산이 있다는 분석이다.

 
또, 성인들의 은행 계좌 개설율(31%)보다 스마트폰 보유율(40%)이 더 높은 만큼 블록체인과 가상통화를 활용한 핀테크(금융+기술) 시장을 안착시킨다면 국가 차원의 디지털 화폐 시장이 마련될 뿐더러 금융 산업 전반의 발전까지 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용카드 결제 시장이 형성되기도 전에 모바일 결제가 안착된 중국처럼 한 단계 빨리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7월 개정된 기술이전법(LTT)을 발효시켰다. 기존 과학·기술 개발 진흥 국가 프로그램으로는 선진 기술 이전이 더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다.

 

특히 블록체인 분야는 이 정책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8년 처음 등장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존 연구 역량에 좌우되지 않는 편이기 때문이다.

 

가상통화공개(ICO) 허브로 자리 잡은 싱가포르와도 경쟁력이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싱가포르는 ICO 허브로 유명하지만 싱가포르 현지인 의무고용, 법인세와 당국의 엄격한 관리 등에 따른 인건비, 임대료 등의 부담이 상당한 반면 베트남은 이런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정부가 신(新) 남방정책으로 베트남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베트남 간의 블록체인 특구를 마련한다면 싱가포르에서 베트남으로 ICO 중심지가 바뀔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